본문 바로가기
성경 Q&A

구약 레위기 5대 제사 구분 (번제, 소제, 화목제, 속제죄, 소건제) 및 제사방식 에 담긴 의미 (전제, 요제, 거제, 화제)

by Updream 2025. 5. 26.

레위기를 보면 5대 제사가 나옵니다. 지금은 이러한 제사를 드리지도 않아서 나와 관련이 없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요. 레위기의 제사는 신약에 오실 예수 그리스도의 모습을 미리 보여 줍니다.

 

죄인된 인간이 제사를 통해서 거룩한 하나님 앞에 나아갈 수 있는 길을 얻은 것 처럼, 신약의 예수님께서 우리의 제물되사 우리가 하나님 앞에 나아갈 수 있는 길을 얻게 되었습니다.

 

레위기의 핵심은 "인간이 하나님의 임재 안에 거할 수 있는 길을 여호와가 열어 준다"입니다. 그리고 그 구체적인 방법이 바로 제사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레위기에 나오는 5대 제사 즉 (번제, 소제, 화목제, 속제죄, 소건제)에 대해서 알아보고 더 나아가 제사방식(전제, 요제, 거제, 화제)에 딤간 의미를 함께 살펴 보겠습니다. 

 

구약 레위기 5대 제사 구분 (번제, 소제, 화목제, 속제죄, 소건제) 및 제사방식 에 담긴 의미 (전제, 요제, 거제, 화제)
구약 레위기 5대 제사 구분 (번제, 소제, 화목제, 속제죄, 소건제) 및 제사방식 에 담긴 의미 (전제, 요제, 거제, 화제)

1. 구약 레위기 5대 제사 구분

구분 히브리어 목적 제물 종류 주요특징 관련 성경
번제 עֹלָה (ʿōlāh) 전적인 헌신
온전한 예배
수소, 숫양, 수염소,
비둘기
· 제물 전체 불사름 레위기 1
소제 מִנְחָה (minḥāh) 감사와 봉헌 곡식(고운 가루)
기름, 유향
· 곡식으로 드림
· 일부 태우고 나머지는 제사장 몫
레위기 2
화목제 שֶׁלֶם (šelem) 하나님과 화목,
공동체와 교제와 화평
수소 양, 염소
(암컷도 가능)
· 일부 태우고 고기를 나눠 먹음 레위기 3
속죄제 חַטָּאת (ḥaṭṭāʾt) 죄 사함 및 정결 수송아지, 숫염소,
비둘기, 가루
· 신분 따라 절차 및 제물 구분
· `
레위기 4
속건제 אָשָׁם (ʾāšām) 죄와 손해에 대한
속제와 보상
흠없는 숫양
+ 배상금 (120%)
· 배상금과 함께 드림
· 일부 태우고 나머지는 제사장 몫
`레위기 514-
67

 

1) 번제(燔祭, Burnt Offering)

번제(燔祭, Burnt Offering)하나님께 전적인 헌신과 예배를 표현하기 위한 제사, 제물 전체를 번제단에서 완전히 불태워 드리는 제사이다(1).

 

제물은 수소, 숫양, 수염소, 비둘기 등이며, 어떤 부분도 인간이 취하지 않고 전부 하나님께 드린다. 이는 인간의 전적 헌신과 하나님의 기쁨을 위한 향기로운 제사로 간주되며(1:9), 예수 그리스도께서 자신을 완전히 하나님께 바치신 희생 제물(5:2)로 성취되었다.

 

2) 소제(素祭, Grain Offering)

소제(素祭, Grain Offering)감사와 봉헌을 표현하는 제사, 피 없는 제사이다(2). 제물은 고운 가루, 기름, 유향으로 구성되며, 누룩이나 꿀은 금지되었다.

 

제물의 일부는 불에 태워 드리고, 나머지는 제사장이 먹는다. 이는 삶의 소산과 노동의 열매를 하나님께 드리는 예배로서, 예수님의 거룩한 삶 전체가 하나님께 드려진 봉헌(12:1)의 상징이 된다.

 

3) 화목제(和睦祭, Peace Offering)

화목제(和睦祭, Peace Offering)하나님과의 교제와 감사 그리고 공동체와의 교제와 화평을 나타내는 제사, 제물은 소, , 염소 등이며, 감사/서원/자원 제사로 나뉜다(3).

 

제물의 일부는 불에 태워 하나님께 드리고, 나머지는 제사장과 예배자가 함께 먹으며 교제를 나눈다. 이는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 공동체 안의 평화를 상징하며, 예수께서 우리와 하나님 사이의 화목의 중보자가 되셨음을 드러낸다(5:1; 고후 5:18).

 

4) 속죄제(贖罪祭, Sin Offering)

속죄제(贖罪祭, Sin Offering)주로 무의식적으로 지은 죄에 대한 속죄와 정결을 위한 제사이다(4). 범죄자의 신분에 따라 제물이 달라지고, 피는 성소나 제단 뿔에 뿌려지고 일부 고기는 진영 밖에서 태운다.

 

이 제사는 죄로 인해 더럽혀진 성소와 공동체를 정결하게 하며, 예수 그리스도께서 죄 없으신 분으로서 우리를 위해 죄가 되셔서 단번에 속죄하신 사역을 예표한다(고후 5:21, 10:10).

 

5) 속건제(贖愆祭, Guilt Offering)

속건제(贖愆祭, Guilt Offering)성물(거룩한 것)에 대한 부정이나 이웃에 대한 손해에 대해 속죄와 보상을 함께 이루는 제사이다(5:146:7). 제물은 흠 없는 숫양이며, 손해에 대한 20%의 이자를 더해 배상해야 한다.

 

이 제사는 단순한 용서뿐 아니라 회복과 책임의 수행을 포함하며, 예수께서 우리의 죄값뿐 아니라 그로 인한 모든 책임까지 온전히 감당하셨음을 드러낸다(53:10, 2:14).

 

2. 제사 방식에 따른 구분

구분 히브리어 행위 주요 특징 의미 관련구절
전제 נֶסֶךְ (neseḵ) 부음 (포도주) 포도주를 제단 위에 붓는 방식
(다른 제사에 덧붙여 드림)
기쁨, 생명, 헌신 민수기 15:5, 출애굽기 29:40
요제 תְּנוּפָה (tenufah) 흔들다 제물을 사방으로 흔들어 올림 (하나님께 봉헌하는 표시) 봉헌과 헌신의 표현 레위기 7:30, 레위기 23:1011
거제 תְּרוּמָה (terumah) 들어 올리다 제물을 위로 들어 올려 바침
(헌물로 구별함)
하나님께 바친 것을
구별 함
출애굽기 29:2728,
민수기 15:1921
화제 אִשֶּׁה (’isheh) 불에 태우다 제물을 불로 완전히 태워 드림
(특히 번제에서 사용)
전적인 태움과 헌신 레위기 1:9, 레위기 3:5

 

1) 전제(奠祭, drink offering)

전제(奠祭, drink offering)포도주를 제단에 붓거나 곡식 제물과 함께 붓는 예식으로, 생명을 전적으로 바치는 헌신을 상징한다(15:510, 29:4041). 이 제사는 독립적인 제사라기보다는 다른 제사(번제, 소제 등)에 덧붙여 드려지는 예식으로, 하나님께 드리는 기쁨과 전적인 헌신을 상징한다.

 

사도 바울은 삶을 전제에 비유한다. “너희 믿음의 제물과 섬김 위에 내가 전제로 부어질지라도 나는 기뻐하고 너희 무리와 함께 기뻐하리니.” (빌립보서 2:17)

 

또한 그는 디모데후서 46절에서 죽음을 앞둔 자신의 삶을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전제와 같이 내가 벌써 부어지고 나의 떠날 시각이 가까웠도다.” (딤후 4:6)

 

2) 요제(搖祭, wave offering)

요제(搖祭, wave offering)제물을 좌우로 흔들어 하나님께 먼저 바쳤음을 상징하는 행위(7:30, 8:11). 첫 이삭 절기에 곡물을 드릴 때, 나실인의 결별 예식 시, 제사장의 위임식 때 요제를 행했다. 바울은 하나님의 백성인 교회의 헌신의 삶을 이렇게 권면한다.

 

너희 몸을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거룩한 산 제물로 드리라. 이는 너희가 드릴 영적 예배니라.” (로마서 12:1)

 

3) 거제(擧祭, heave offering)

거제(擧祭, heave offering)는 제물을 위로 들어 올려 하나님께 높이 들어 드리는 행위다(29:2728, 18:24). 이는 특별히 하나님께 구별하여 바친 것을 의미하며, 십일조, 성막 예물, 제사장 몫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바울은 말씀을 통해 구별된 우리의 몸과 삶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너희도 너희 지체를 죄의 무기로 드리지 말고, 오직 하나님께 드려 의의 무기로 하라.” (로마서 6:1)

 

4) 화제(火祭, offering by fire)

화제(火祭, offering by fire)제물을 불태워 하나님께 향기로운 제사로 바치는 방식이다. 번제, 소제, 화목제 등에서 주로 나타나며(1:9, 2:2, 3:5), 하나님께 올라가는 향기로운 제물, 즉 예배의 승화된 형태를 표현한다. 이는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이 향기로운 제물”(5:2)로 드려졌음을 예표한다.

 

3. 구약 레위기 5대 제사 결론 및 정리

이제까지 우리는 구약 레위기 5대 제사 및 제사 방식에 따른 제사법에 대해서 살펴 보았습니다. 

 

지금은 드리지도 않는 구약의 제사법을 우리가 알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것은 레위기의 제사가 예수님의 십자가 사건을 예표해 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 레위기 제사법을 이해해야만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오시고 우리를 위해 십자가에 달리신 사건을 온전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하지만 레위기의 핵심은 "인간이 하나님의 임재 안에 거할 수 있는 길을 여호와가 열어 준다"입니다. 그리고 그 구체적인 방법이 바로 제사입니다. 

 

구약의 인간이 제사를 통해 거룩한 하나님의 보좌 앞으로 나아갈 수 있었듯이, 이제 신약의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거룩한 하나님의 임재 안으로 나아갈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이에 세례요한은 예수 그리스도에 대하여 이렇게 고백했습니다.

요한복음 1:29
이튿날 요한이 예수께서 자기에게 나아오심을 보고 이르되 보라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나님의 어린 양이로다

 

구약에 예배자들에 의해서 죽임을 당하고 찢기고 쪼개졌던 제물과 같이 예수께서 우리를 위한 제물이 되신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예수님이 삶은 우리를 위한 번제로, 소제로, 화목제로, 속죄제로 속건제로 드려지셨습니다. 

 

이 얼마나 놀라운 은혜입니까?

 

이 놀라운 은혜를 주신 하나님 앞에 오늘도 감사하며, 이제는 우리가 주를 위한 번제로, 소제로, 화목제로, 속죄제로 속건제로 드려지길 소망합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

 [히브리어 성경] - 성경에서 말씀하시는 복은? בָּרַךְ (바라크) (어떻게 복을 받을 수 있는가?)

 

성경에서 말씀하시는 복은? בָּרַךְ (바라크) (어떻게 복을 받을 수 있는가?)

성경에서 말씀하시는 복은 무엇일까요? 성경에서 말씀하시는 복을 알아보고 복을 받는 저와 여러분 되시길 간절히 기도합니다. 1. 복은 모든 사람들이 좋아합니다. 한국사람들은 ‘복’(福)이라

beforethelord.tistory.com

[북 리뷰] - [책 리뷰] 『신은 존재하는가』 – 신은 정말 존재할까? 철학자의 대답

 

[책 리뷰] 『신은 존재하는가』 – 신은 정말 존재할까? 철학자의 대답

이번에 읽은 책은 리처드 스윈번(Richard Swinburne)의 『신은 존재하는가 (Is There a God?)』입니다.제목만 보고 "기독교 책인가?" 싶을 수도 있지만, 막상 읽어보면 종교적 권면보다도 철학적 설득이 중

beforethelord.tistory.com

[성경 Q&A] - 분열왕국 이후 북이스라엘 예배 (여로보암의 금송아지 - 단과 벧엘)

 

분열왕국 이후 북이스라엘 예배 (여로보암의 금송아지 - 단과 벧엘)

분열왕국 이후 북이스라엘 예배에 대해서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북이스라엘은 예배 실패로 신앙이 무너지고 결국 나라까지 무너지게 되었는데요. 분열왕국 이후 북이스라엘 사람들은 어떻게

beforethelord.tistory.com

[성경 Q&A] - 이스라엘 왕 연대 및 관련 선지자 (통일왕국부터 분열왕국 그리고 포로시대까지)

 

이스라엘 왕 연대 및 관련 선지자 (통일왕국부터 분열왕국 그리고 포로시대까지)

본래 하나였던 이스라엘은 솔로몬 이후부터 남유다와 북이스라엘로 나뉘게 됩니다. 그리고 하나님께서는 각 시대마다 선지자들을 보내시게 되는데요. 그 이유는 선지자들을 통해서 하나님의

beforethelord.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