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 QT/고린도전서40 고린도전서 16장 13절~24절 (바울의 3가지 권면) 고린도전서 16장 13절에서 24절 말씀을 통해 '바울의 3가지 권면'이라는 제목으로 주신 은혜 함께 나눕니다. 하나님의 크신 은혜와 평강이 날마다 함께 하시길 기도드립니다. 3가지 권면 - 깨어 믿음에 굳게 서서바울은 사랑하는 고린도교회 공동체의 신앙을 위하여 여러 가지 말씀을 나누었습니다. 그리고 이제 마지막 부분에 도달하였습니다. 바울은 편지를 마치면서 3가지로 권면하고 있습니다.고린도전서 16:13 / 깨어 믿음에 굳게 서서 남자답게 강건하라. 먼저는 깨어 믿음에 서는 것입니다. 성경에 가장 힘이 세기로 소문난 사람은 삼손입니다. 삼손의 힘을 능가할 사람이 또 있을까요? 삼손의 힘에 대하여는 성경에 잘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그런 그도 가장 약할 때가 있습니다. 성경은 그가 가장 약할 때를.. 2024. 7. 31. 고린도전서 16장 1절~12절 (연보는 이렇게 하라) 고린도전서 16장 1절에서 12절 말씀을 통해 "연보는 이렇게 하라"는 제목으로 주신 은혜 함께 나눕니다. 하나님의 크신 은혜와 평강이 날마다 함께 하시길 간절히 소망합니다. 헌금은 합당하게 사용되어야 합니다. 바울은 고린도전서 15장 전체에 걸쳐서 부활에 대해서 전하였습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은 수많은 증인들이 목격 한 바 예수의 부활은 믿는 자들의 부활이 되고, 부활의 믿음이 없으면 헛된 것이다”라고 밝혔습니다. 그리고 16장을 시작하면서 연보에 대해서 이야기합니다. 연보란 “자기의 재물을 내어 다른 사람을 도와주는 것”을 말하는데, ‘헌금’이라는 단어가 우리에게는 더 익숙합니다. 신앙을 갖는 분들에게 걸림돌이 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헌금 문제입니다. 대표적으로 십일조가 있습니다. 수입의.. 2024. 7. 30. 고린도전서 15장 50절~58절 (우리도 변화되리라) 고린도전서 15장 50절에서 58절 말씀을 통해 "우리도 변화되리라"는 제목으로 주신 함께 나눕니다. 하나님의 크신 은혜와 평강이 날마다 함께 하시길 기도드립니다. 우리도 변화되리라바울은 고린도전서 15장 전체에 걸쳐서 부활에 대해서 가르치고 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은 많은 이들이 목격한 사실이요 또한 예수의 부활과 같이 그를 믿고 따르는 자들에게 부활이 있다는 것입니다. 오늘 말씀은 부활에 대한 결론 부분으로서 바울은 다시 한번 성도에게 일어날 부활에 대해서 이야기합니다.고린도전서 15:50 / 형제들아 내가 이것을 말하노니 혈과 육은 하나님 나라를 이어받을 수 없고 또한 썩는 것은 썩지 아니하는 것을 유업으로 받지 못하느니라 50절에 혈과 육 그리고 썩는 것은 무엇을 가리킵니까? 자연.. 2024. 7. 25. 고린도전서 15장 35절~49절 (어떻게 부활하는가?) 고린도전서 15장 35절에서 49절 말씀을 통해 "어떻게 부활하는가?'라는 제목으로 주신 은혜 나눕니다. 하나님의 크신 은혜와 평강이 날마다 함께 하시길 기도드립니다. 어떻게 부활하는가?바울은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증언하면서, “나는 날마다 죽는다”라고 고백을 하였습니다. 그가 날마다 죽는다고 고백할 수 있었던 이유는 부활의 믿음과 신앙이 그에게 있었기 때문입니다. 바울은 부활을 희미하게 믿거나, 어렴풋이 믿지 않았습니다. 예수의 부활을 확실하게 믿었을 뿐만 아니라, 예수의 부활의 나의 부활됨을 분명히 믿었습니다. 그가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날마다 죽는다라고 고백할 수 있었던 이유는 바로 이와 같이 부활에 대한 분명한 믿음을 갖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부활 신앙은 기독교가 다른 종교와 어떻게 다른.. 2024. 7. 24. 고린도전서 15장 20절~34절 (나는 날마다 죽노라) 고린도전서 15장 20절에서 34절 말씀을 통해 "나는 날마다 죽노라"는 제목으로 주신 은혜 함께 나눕니다. 하나님의 크신 은혜와 평강이 날마다 함께 하시길 간절히 기도드립니다. 잠자는 자들의 첫 열매가 되셨도다기독교사에 중요한 사건들이 몇 가지 있지만, 그중에서 ‘부활’ 사건은 핵심 중 핵심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부활이 빠진다면, 기독교의 모든 교리는 무너지게 되어 있습니다. 예수님의 부활이 거짓이라면, 과연 우리가 예수님을 믿을 이유가 있을까요? 그분을 주라고 고백할 수 있을까요? 만약 부활의 이야기가 꾸며낸 이야기라면, 부활이 거짓이라면 신앙의 근간이 흔들리게 되는 것입니다. 바울도 말하기를 만약 부활이 없다면, 복음 전파함이 헛되며 믿음도 헛되고 무엇보다도 모든 사람 가운데 우리가 더욱 불.. 2024. 7. 23. 고린도전서 15장 12절~19절 (그리스도의 부활을 믿으라) 고린도전서 15장 12절에서 19절 말씀을 통해 "그리스도의 부활을 믿으라"는 제목으로 주신 은혜 함께 나눕니다. 하나님의 크신 은혜와 평강이 날마다 더하시길 기도합니다. 부활을 믿지 못하는 사람들사람들이 성경에서 믿지 못하는 두 가지 중요한 사건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구약에서는 창조의 이야기요 신약에서는 그리스도의 부활입니다. 자기의 이성으로는 도대체가 하나님께서 말씀대로 이 세상을 만드셨다는 것이 믿어지지가 않고 또 십자가에서 완전히 죽으신 예수께서 다시 살아나셨다는 사실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입니다. 특히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건부터 지금까지 계속 공격받아 왔습니다. 정말 예수님께서 부활하셨느냐? 다시 살아난 것이라면 정말 죽은 것이 맞느냐? 후대에 사람들이 꾸며.. 2024. 7. 22. 매일 큐티 - 고린도전서 15장 1절~11절 (다 하나님의 은혜입니다) 매일큐티 고린도전서 15장 1절에서 11절 말씀을 통해 "다 하나님의 은혜입니다"라는 제목으로 주신 은혜 함께 나눕니다. 하나님의 크신 은혜와 평강이 날마다 함께 하시길 기도드립니다. 복음은 무엇인가?앞장인 14장까지 바울은 은사에 대해서 언급하였습니다. 은사가 무엇이냐? 그리고 은사를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 에 대해서, 그 결론으로 “모든 것을 덕을 세우기 위하여 하고” (고전 14:26), “모든 것을 품위와 질서 있게 하라” (고전 14:40)였습니다. 그리고 이제 바울은 15장에 부활에 대한 가르침을 이어가면서 먼저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에 대해서 이야기합니다.고린도전서 15:1 / 형제들아 내가 너희에게 전한 복음을 너희에게 알게 하노니 이는 너희가 받은 것이요 또 그 가운데 선 것이라 바.. 2024. 7. 21. 매일큐티 - 고린도전서 14장 26절~40절 (품위 있게 하고 질서 있게 하라) 매일큐티 - 고린도전서 14장 26절에서 40절 말씀을 통해 "품위 있게 하고 질서 있게 하라"는 제목으로 주신 은혜 나눕니다. 하나님의 크신 은혜와 평강이 날마다 함께 하시길 기도드립니다. 덕을 세우기 위하여 하라바울은 고린도전서 12장부터 시작해서 오늘 14장에 이르기까지 은사에 대해서 자세히 가르쳤습니다. 은사는 성령께서 교회의 유익을 위해 주신 것으로 모든 은사는 사랑을 기초로 행해져야 함을 강조하였습니다. 아무리 좋은 은사라도 사랑이 없이 은사를 사용하는 것은 절제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오늘 본문에서 이제 은사에 대한 말씀을 마무리하면서 최종적인 결론을 내립니다.고린도전서 14:26 / 그런즉 형제들아 어찌할까 너희가 모일 때에 각각 찬송시도 있으며 가르치는 말씀도 있으며 계시도 .. 2024. 7. 18. 매일 큐티 - 고린도전서 14장 13절~25절 (방언을 어떻게 사용할까?) 매일 큐티 - 고린도전서 14장 13절에서 25절 말씀을 통해 "방언을 어떻게 사용할까"라는 제목으로 주신 은혜 함께 나눕니다. 하나님의 크신 은혜와 평강이 날마다 함께 하시길 기도드립니다. 방언을 어떻게 사용할까?오늘 본문에 계속되는 이슈는 방언 은사에 대한 말씀입니다. 말씀을 읽다 보면 방언을 하지 말아야 하나? 방언은 나쁜 것인가 하는 오해를 살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본문은 방언이 나쁘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 결코 아닙니다. 방언도 하나의 은사인데, 성령님께서 나쁜 것을 주실 일은 없기 때문입니다. 본문이 말씀하고 있는 것은 잘못된 방언의 사용의 예입니다. 다시 말해 방언이 잘못된 것이 아니라, 방언을 올바르게 사용하지 못한 것이 잘못된 것입니다. 한국교회 나타나는 방언에 대한 올바르지 .. 2024. 7. 17. 매일큐티 - 고린도전서 14장 1절~12절 (교회의 덕을 세우는 은사) 매일큐티 - 고린도전서 14장 1절에서 12절 말씀을 통해 "교회의 덕을 세우는 은사"라는 제목으로 주신 은혜에 나눕니다. 하나님의 크신 은혜와 평강이 날마다 함께 하시길 기도드립니다. 은사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사를 확인할 수 있는 ‘네 박자’라는 글에 소개된 내용입니다. 과연 이것이 은사인지 아닌지를 어떻게 분별할 수 있냐는 것입니다. 이 책에서는 은사가 되기 위한 4가지 조건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습니다. 첫째, 자신에게 기쁨이 되어야 합니다. 둘째, 형제에게는 덕을 세워야 합니다. 셋째, 공동체에 유익을 주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하나님께는 영광이 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은사란 바로 이렇게 네 박자가 맞아야 한다고 글에서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 글을 읽고 참 공감이 되었습니다. 어느 교.. 2024. 7. 16.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