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큐티 고린도전서 11장 1절에서 16절 말씀을 통해 "질서와 배려의 조화"라는 제목으로 주신 은혜 나눕니다. 하나님의 크신 은혜와 평강아 날마다 함께 하시길 기도드립니다.
여성의 예배포 문제
고린도전서 11장부터 14장까지는 주로 예배와 관련된 문제에 대해서 다루는데 첫 번째는 예배포 착용에 대하여 두 번째는 성찬에 대하여, 세 번째는 은사에 대해서 말씀합니다.
오늘 본문은 예배포 착용 문제에 대해서 말씀합니다.
고린도교회 당시에 교회들은 여성은 남성과 다르게 예배포를 쓰고 예배를 드렸습니다. 이렇게 여성이 예배포를 머리에 쓰는 것은 그들의 문화를 반영합니다.
당시 헬라 사회에서 여인들은 외출하거나 공적인 모임에 참석할 경우 반드시 머리에 수건을 썼습니다. 이는 여자가 남자의 권위 아래에 있다는 표시였고, 당시 남성 우월주의 사상이 반영된 결과였습니다.
그런데 오늘 말씀을 보면, 고린도교회 여 성도들 중 일부가 머리에 예배포를 쓰지 않기 시작한 것입니다.
나름대로의 이유가 있습니다. 머리에 예배포를 쓰는 것은 사회적 관습에 불과했고, 무엇보다도 남성과 여성은 하나님 안에서 동등한 자이기 때문입니다. 하나님 안에서 동등한 자로서, 여성만 예배포를 쓰는 것은 부당한 일처럼 느껴질 수 있었던 것입니다.
이에 여성 성도들은 머리에 예배포를 쓰지 않기 시작했고 이것이 교회에 문제가 될 수 있기에 바울은 이 문제를 언급한 것입니다.
권세 아래에 있는 표를 그 머리 위에 둘지니라
결론적으로 여 성도들은 예배포를 쓰고 예배를 드려야 한다고 말합니다. 이유가 있습니다.
먼저 오늘 본문이 잘못 해석이 되면 꼭 남자가 여자 위에 있고, 남성의 권위를 강조하는 말씀처럼 보입니다. 그래서 여성도들에게는 참 불편한 본문이기도 합니다.
3절에 보면, “그러나 나는 너희가 알기를 원하노니 각 남자의 머리는 그리스도요 여자의 머리는 남자요 그리스도의 머리는 하나님이시라.”라고 말씀합니다. 여성의 머리가 남성이라는 것입니다.
또 8절 “남자가 여자에게서 난 것이 아니요 여자가 남자에게서 났으며” 9절 “또 남자가 여자를 위하여 지음을 받지 아니하고 여자가 남자를 위하여 지음을 받은 것이니”
10절 “그러므로 여자는 천사들로 말미암아 권세 아래에 있는 표를 그 머리 위에 둘지니라”라고 말씀합니다.
10절은 해석이 난해한 구절 중 하나입니다. 공동번역은 10절을 “천사들이 보고 있으니 여자는 자기가 남편의 권위를 인정하는 표시로 머리를 가려야 합니다”라고 해석을 했습니다.
현대인의 성경은 10절을 “그러므로 여자는 천사들 때문에 남자의 권세 아래 있다는 표로 머리에 수건을 써야 합니다.”라고 해석을 했습니다.
남자의 권세 아래 있다는 표시로 여 성도들은 머리에 수건을 써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앞선 구절들만 보면 남성의 권위를 주장하고 옹호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오늘 본문이 강조하는 것은 남성이 여성보다 앞서고 우월하다는 것을 강조하는 본문이 아닙니다. 그러면 오늘 말씀이 강조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교회의 배려와 질서의 조화를 통하여 교회의 덕을 세워야 한다는 것입니다.
배려와 질서의 조화를 통해 교회의 덕을 세워라
당시 사회에서는 머리에 수건을 쓰지 않는 여자란 곧 창기를 의미했습니다. 우상에게 제의를 바칠 때 여사제는 머리를 풀어헤치기도 했습니다.
때문에 교회 안에서 여성도들이 머리에 수건을 쓰지 않으면 교회는 불신자들에게 충분히 오해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이에 바울은 남성우월주의를 지지하는 차원이 아니라, 하나님의 창조 질서(3절-10절)와 인간의 자연적 본성(13-15절)을 언급하면서 여성이 예배포를 착용하여 예배를 드리는 것이 합당한다는 것을 전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전합니다
고린도전서 11:13 / 너희는 스스로 판단하라 여자가 머리를 가리지 않고 하나님께 기도하는 것이 마땅하냐
사실 이제까지의 바울이 말한 논지를 살펴볼 때 여성도들은 당연히 예배포를 쓰지 않을 권리나 자유가 있었습니다. 예배포를 쓰는 것은 율법도 아니고 예수님의 말씀도 아닙니다.
그러나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교회의 덕을 세우기 위해서라면 마땅한 자유나 권리까지도 내려놓을 수 있어야 한다고 바울은 말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원리로 머리에 쓰는 것도 자신의 자유와 권리를 기꺼이 내려놓고 교회의 덕과 질서를 세우는 것이 성도의 바람직한 모습임을 전하고 있는 것입니다.
오늘날 교회들은 머리에 무엇을 쓰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본문의 말씀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오늘 말씀을 통해 우리는 개인의 자유와 권리보다 공동체의 질서와 타인의 배려를 더욱 우선하는 것이 아름다운 신앙생활의 원리라는 사실을 알게 하십니다.
“나만 괜찮으면 됐지!라고 생각하는 오늘날 시대에 그러나 오늘 말씀과 같이 공동체의 질서와 타인에 대한 배려를 먼저 생각하면서 교회를 더욱 아름답게 세워나가는 우리 모두가 되시길 기도하며 소망합니다.
'신약 QT > 고린도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일큐티 - 고린도전서 12장 1절~11절 (한 성령이 주시는 다양한 은사) (0) | 2024.07.10 |
---|---|
매일큐티 - 고린도전서 11장 17절~34절 (하나님이 원하시는 주의 만찬) (0) | 2024.07.09 |
매일큐티 - 고린도전서 10장 14절~33절 (다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하라) (1) | 2024.07.02 |
매일 큐티 - 고린도전서 10장 1절~13절 (넘어질까 조심하라) (1) | 2024.07.01 |
매일큐티 - 고린도전서 9장 19절~27절 (얻고자 버리는 사람) (1) | 2024.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