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큐티 - 욥기 3장 1절에서 10절 말씀을 통해 "고통 속에 은혜 붙잡기"라는 제목으로 주신 은혜 함께 나눕니다.
자기 생일을 저주하는 욥
긴병에는 장사 없다. 긴병에는 효자 없다, 병시중 3년이면 돌부처도 돌아선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아무리 부부관계가 좋고, 아무리 훌륭한 자녀라 할지라도, 병세가 오래가면 육체적인 부담, 재정적인 부담 등등으로 인해 결국 두 손발 들게 되는 어려움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말입니다.
오늘 욥기 3장에서의 욥의 분위기는 1장과 2장에서의 분위기와는 사뭇 다릅니다.
욥기 1장에서 욥은 어떤 사람이었습니까? 자녀와 모든 소유물을 잃은 상황 속에서도 “주신 이도 여호와 시오, 거두신이도 여호와이시오니, 여호와의 이름이 찬송을 받으실지니라”라는 아주 기막힌 믿음의 고백을 한 사람이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2장에서 자신의 몸이 악성종기로 고통받아, 극심한 고통 중에. 아내가 차차리 하나님을 욕하고 죽으라고 말할 때에도 “우리가 하나님께 복을 받았은즉, 화도 받지 아니하겠느냐”라고 고백한 욥이었습니다.
그런 욥이 3장에서 어떻게 바뀌었습니까?
욥기 3:1 / 그 후에 욥이 입을 열어 자기의 생일을 저주하니라
욥을 위로하기 위해 친구들이 찾아왔습니다. 그런데 욥이 당한 일을 보며 친구들은 아무 말도 할 수 없었습니다. 그렇게 7일이라는 시간이 지났습니다.
그 후에 욥은 일을 열어 자신의 생일을 저주합니다. 쉽게 이야기 태어나지 않았더라면이라는 뜻입니다. 태어나지 않았더라면 이러한 고통은 경험하지 않았을 텐데라는 말입니다.
이제까지 그가 살면서 받은 복보다 지금 당하는 고난이 너무나 크고 극심하다고 느껴졌던 것입니다. 이러한 삶의 비참함을 노래로 표현합니다.
3절을 보시면 ‘그날 멸망하였더라면..’ 여기서 그날은 욥이 태어난 날을 말합니다 4절에 ‘그날이 캄캄하였더라면’ 5절에 ‘어둠과 죽음의 그늘이 그날을 자기의 것이라고 주장하였더라면’ 7절에 ‘그 밤에 자식을 배지 못하였더라면’
계속 말하는 것이 무엇입니까? 태어나지 말았어야 했는데.. 태어나지 말았어야 했는데.. 그리고 그는 11절에서 이렇게 고백합니다.
욥기 3:11 / 어찌하여 내가 태에서 죽어 나오지 아니하였던가 어찌하여 내 어머니가 해산할 때에 내가 숨지지 아니하였던가
그때 죽었어야 했는데. 죽었어야 했는데라는 말입니다.
사실 3장을 잃어 보면 하나님께 대한 직접적인 원망이나, 또는 하나님을 저주하는 표현은 없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욥의 원망스러운 고백은 하나님께 대한 고백이기도 합니다.
지금이나 당시나 생명의 주권은 하나님께 있음을 믿습니다. 욥도 이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지금 그가 태어나지 말았어야 했는데 죽었어야 했는데 라는 말은 왜 하나님 나를 태어나게 하셨습니까? 왜 나를 살게 하셔서 이러한 큰 고통을 만나게 하십니까?라는 완곡한 표현입니다.
고통 속에 은혜 붙잡기
1장과 2장에서는 신앙적 도전을 주던 욥이었습니다. 그런 그가 3장에서는 결국 우리와 같은 나약한 모습을 보여 줍니다.
생각해 보겠습니다. 당시 욥은 당대의 의인이요 큰 부자였습니다. 그가 돈도 많고 하나님도 신실하게 믿는 사람이었음을 주변에 많은 사람들이 알았습니다. 이런 모습을 보면서 많은 사람들이 도전을 받았을 것입니다. 우리도 욥과 같이 믿어야지. 욥처럼 돼야지..
우리 주변에도 신앙적으로 인품적으로 훌륭한 사람, 본받고 싶은 사람이 있습니다.
그런데. 그런 그가 모든 소유물을 잃고, 자녀도 잃고, 건강도 잃고, 이제는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는 사람으로 전락하였습니다.
주변 사람들은 무슨 생각이 할까요? 믿음 있어도 별 수 없네. 믿음 좋은지 알았는데 결국 그도 인간이군!!라고 생각하지 않겠습니까?
그러나 우리는 이런 욥의 모습을 보면서, 실족이 되는 것이 아니라 도리어 은혜를 받습니다.
욥이 누구입니까? 구약의 의로운 3 사람 중 한 사람으로 소개된 이였습니다. (노아, 다니엘, 욥) 구약의 수많은 인물들이 등장하는데, 그중 한 사람의 의인으로 불린 것입니다.
그러나 그런 그라 할지라도, 현실적 절망의 무게에 눌리면 ‘낙심하고 우울해하며 탄식할 수밖에 없는 연약한 존재임’을 보게 됩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무엇을 배우게 됩니까? 믿음이 있다가도 없고 없다가도 생긴다는 것일까요?? 욥도 그랬으니 힘들 때는 하나님을 원망하라는 이야기일까요?
아닙니다. 노아라도, 다니엘이라도, 욥이라도 이 세상의 누구라도 예외 없이 결국에는 하나님의 은혜가 필요한 연약한 사람임을 알게 해 주십니다.
우리는 어떻습니까? 사실 건강하고 잘 나가고 모든 것이 잘 풀릴 때는 나의 연약함을 잘 모릅니다. 나는 제법 믿음도 좋고 남들보다는 괜찮은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힘들고 어렵고 극심한 고난이 찾아올 때도 과연 지금과 같은 모습을 보일 수 있을까요?
그 누구도 예외 없이 우리는 주님의 은혜가 필요한 사람입니다. 다시 말해, 모든 사람들은 주님의 은혜로 살아갑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부할 때나 가난할 때나, 행복할 때나 고통스러울 때나 잘 될 때나 안 될 때나 주님의 은혜만이 결론이 되어야 합니다. 은혜만을 붙잡아야 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고백해야 합니다.
“하나님!! 우리는 주님의 은혜가 아니면 단 하루도 살 수 없습니다. 조금만 힘들어도 넘어지고 쓰러지는 불평하는 연약한 존재입니다. 주님의 은혜가 쓰러진 우리를 붙드시고, 주님의 은혜가 우리의 나약함을 감추시며, 주님의 은혜가 오늘을 살아가게 하시는 힘을 주시는 줄 믿습니다. 언제나, 어디서나 주님의 은혜만을 붙들게 하옵소서. ”
은혜 없이는 살 수 없는 우리의 존재를 알고, 어려움 중에 환난 중에 고통 중에도 주님의 은혜만을 구하며 믿음으로 승리하시길 간절히 기도하며 소망합니다.
'구약 QT > 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욥기 4장 1절~11절 (왜 고난을 주시는가) (0) | 2024.10.13 |
---|---|
욥기 3장 11절~26절 (탄식을 하나님께 쏟아 놓기) (7) | 2024.10.09 |
욥기 2장 1절~10절 (입술로 범죄하지 않기) (1) | 2024.10.07 |
욥기 1장 13절~22절 (주신이도 여호와, 거두신이도 여호와) (0) | 2024.10.06 |
욥기 1장 6절~12절 (까닭없이 믿는 믿음) (3) | 2024.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