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큐티 말씀, 마태복음 2장 13절에서 23절 말씀을 통해 "선지자를 통하여 말씀하신바, 신실하게 일하시는 하나님"이라는 제목으로 은혜 함께 나눕니다.
마태복음 족보 이야기와 예수님의 출생의 신비를 전하면서, 예수님의 출현은 어쩌다가, 그리고 우연히 일어난 일이 아니라 하나님의 언약의 성취로 오신 분이심을 말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제 동방박사들이 예수님을 뵈옵고 떠난 이후 있었던 3가지의 사건을 보도하고 있습니다.
1) 요셉의 가족의 피신 사건
마태복음 2:13 / 그들이 떠난 후에 주의 사자가 요셉에게 현몽하여 이르되 헤롯이 아기를 찾아 죽이려 하니 일어나 아기와 그의 어머니를 데리고 애굽으로 피하여 내가 네게 이르기까지 거기 있으라 하시니
천사가 요셉에게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헤롯이 아기를 찾아 죽이려 하니 일어나 아기와 그의 어머니를 데리고 애굽으로 피신하라”
요셉은 이러한 천사의 말을 듣고, 14절에 보면 아기와 그의 어머니를 데리고 애굽으로 피신하여 도망칩니다.
본문에서 소개하고 있는 두 번째 사건은 헤롯의 유아 대학살 사건입니다.
2) 유아 대학살 사건
마태복음 2:16 / 이에 헤롯이 박사들에게 속은 줄 알고 심히 노하여 사람을 보내어 베들레헴과 그 모든 지경 안에 있는 사내아이를 박사들에게 자세히 알아본 그때를 기준하여 두 살부터 그 아래로 다 죽이니
예수님이 탄생하신 그때에 아주 끔찍한 일이 일어납니다. 그것은 베들레헴과 그 모든 지경 안에 있는 두 살부터 그 아래에 있는 사내 아기를 죽임을 당하는 사건입니다.
헤롯은 아기 예수를 자신의 왕 자리를 위협하는 존재로 인식했습니다. 그래서 예수님이 태어나신 날을 기준하여 두 살부터 그 아래로 다 죽였습니다.
사람이 권력에 미치면 얼마나 포악해질 수 있는지 알 수 있는 대목입니다.
본문에서 소개하고 있는 3) 세 번째 사건은 요셉 가족이 애굽에서 돌아와 나사렛이란 동네에서 정착한 이야기입니다.
3) 애굽에서 돌아옴.
마태복음 2:21 / 요셉이 일어나 아기와 그의 어머니를 데리고 이스라엘 땅으로 들어가니라
시간이 지나 아기 예수를 죽이려 했던 헤롯은 죽습니다. 이에 천사는 요셉에게 이제 이스라엘로 돌아와도 괜찮다는 것을 알려 줍니다.
헤롯이 죽은 이후에, 그가 다스리던 지역이 여러 개로 나뉘었는데, 유대지역을 다스리던 사람이 그의 아들 아켈라오라는 사람이었습니다. 아켈라오도 역시, 그의 아버지만큼이나 포악한 인물로 그려지고 있습니다.
때문에 요셉은 유대땅으로 가지 않고, 갈릴리 나사렛이라 지역에서 정착하게 됩니다. (2:22~23)
그래서 정리하면 오늘 본문에 등장한 3가지 사건은 아기 예수께서 헤롯을 피해 애굽으로 내려가신 이야기, 헤롯이 아기 예수를 죽이기 위해 대량 학살한 이야기, 그리고 다시 아기 예수께서 애굽에서 나와 이스라엘로 돌아온 이야기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이야기가 진행되면서 사실 반복되는 구절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선지자를 통하여 말씀하신바”라는 구절입니다.
4) 선지자를 통하여 말씀하신 바
요셉 가족이 애굽으로 도망칠 때에는 어떻게 말씀합니까? 15절에 “주께서 선지자를 통하여 말씀하신바..”
헤롯에 의한 유아 대학살의 사건을 소개할 때에도 17절에 “선지자 예레미야를 통하여 말씀하신바..”
요셉 가족이 나사렛이란 동네에 정착하게 된 사건에서도 23절에 “이는 선지자로 하신 말씀에”라고 소개합니다..
이는 선지자를 통하여 말씀하신 이야기입니다. 그리고 선지자의 말씀이 성취입니다.라고 마태는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마태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하나님의 구원의 계획을 가로막는 엄청난 방해와 공격 속에서도, 우리를 구원하시려는 하나님의 약속은 그 언약은 여전히 성취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사실 인간적인 눈으로 보면 하나님의 약속은 몇 번이고 실패할 것처럼 보입니다. 아니 실패했어도 여러번 했어야 맞습니다. 구약의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을 배신하고, 이에 나라가 망하고 포로로 잡혀가고 또 지금 본문에서는 헤롯이 이스라엘을 지배하면서 이 땅에 오신 예수님을 죽이려 했습니다.
그러나 어떻습니까? 예수님은 약속대로 오셨고, 십자가의 사역을 완수하셔서, 세계 수많은 사람들이 예수님을 통해 구원받게 되었습니다.
하나님은 분명 신실하시다고 성경은 말씀하는데 우리의 삶 가운데는 그렇게 보이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삶의 고난과 역경이 계속되면 나를 향하신 하나님은 언약은 실패한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오늘 말씀이 증거하고 있는 것은 무엇입니까? 하나님의 약속은 반드시 성취된다는 사실입니다.
우리의 생각으로는 실패한 것처럼 보이고, 우리의 눈으로는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하나님은 하나님의 시간표대로 하나님의 일을 이루어 가십니다.
오늘 우리는 이러한 하나님을 바라보길 원합니다. 비록 지금 당장은 이해되지 않고 답답할지라도,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뜻은 결코 실패하지 않으며, 하나님의 약속은 반드시 성취된다는 믿음으로 오늘을 살아가길 원합니다.
이를 위하여 우리가 붙드는 것은 환경이 아니라 말씀이어야 하며, 우리가 기대는 것은 눈에 보이는 현실이 아니라 하나님의 신실하심 이어야 합니다.
우리의 시선이 환경이나 사람이 아니라 하나님께 고정되어 오늘도 일하시는 하나님을 만나뵈옵는 믿음의 귀한 하루를 보내시길 간절히 기도합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
[성경 Q&A] - 성경(구약, 신약) 화폐 단위 (게라, 베카, 세겔, 고르, 마네, 페니온, 렙돈, 고드란트, 앗사리온, 드라크마, 므나, 달란트)
성경(구약, 신약) 화폐 단위 (게라, 베카, 세겔, 고르, 마네, 페니온, 렙돈, 고드란트, 앗사리온, 드
성경에는 다양한 화폐 단위가 나옵니다. 생각보다 많은데요. 그 이유는 이스라엘의 고유 화폐뿐만 아니라 당시 이스라엘이 앗수르, 바벨론, 페르시아, 로마 등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이
beforethelord.tistory.com
[히브리어 성경] - 성경에서 말씀하시는 복은? בָּרַךְ (바라크) (어떻게 복을 받을 수 있는가?)
성경에서 말씀하시는 복은? בָּרַךְ (바라크) (어떻게 복을 받을 수 있는가?)
성경에서 말씀하시는 복은 무엇일까요? 성경에서 말씀하시는 복을 알아보고 복을 받는 저와 여러분 되시길 간절히 기도합니다. 1. 복은 모든 사람들이 좋아합니다. 한국사람들은 ‘복’(福)이라
beforethelord.tistory.com
[성경 Q&A] - 동성애에 대한 올바른 성경적 관점 (동성애를 지지하는 주장에 대한 반론)
동성애에 대한 올바른 성경적 관점 (동성애를 지지하는 주장에 대한 반론)
일부 기독교 신앙인 중에서는 동성애를 옹호하고 찬성하는 입장이 있습니다. 반면 대다수의 기독교인들은 동성애를 반대합니다. 저는 동성애를 반대하는 입장인데, 그 이유는 성경에서 동성애
beforethelord.tistory.com
[성경 Q&A] - 구약 레위기 5대 제사 구분 (번제, 소제, 화목제, 속제죄, 소건제) 및 제사방식에 담긴 의미 (전제, 요제, 거제, 화제)
구약 레위기 5대 제사 구분 (번제, 소제, 화목제, 속제죄, 소건제) 및 제사방식 에 담긴 의미 (전제
레위기를 보면 5대 제사가 나옵니다. 지금은 이러한 제사를 드리지도 않아서 나와 관련이 없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요. 레위기의 제사는 신약에 오실 예수 그리스도의 모습을 미리 보여 줍니다.
beforethelord.tistory.com
'신약 QT > 마태복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벽 큐티말씀 - 마태복음 3장 13절-17절 (예수님이 세례를 받으시다 - 하나님의 의를 이루는 사람) (2) | 2025.07.01 |
---|---|
새벽 큐티말씀- 마태복음 3장 1절~12절 (세례요한이 천국을 전파하다 - 진짜 회개 진짜 변화) (1) | 2025.06.30 |
말씀 큐티 - 마태복음 2장 1절~12절 (내 안에 왕이 계십니까?) (1) | 2025.06.23 |
마태복음 1장 18절~25절 (예수 그리스도 그 기막힌 은혜) (0) | 2025.06.22 |
마태복음 1장 1절~17절 (족보 속에 담겨진 복음) (0) | 2025.05.26 |